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오피스 임대료는 어디일까요??
최근 가장 많이 미디어에 노출되고 있는 호텔은 어디일까요??
우영우 변호사가 회전문으로 고생하던 그곳은 어디일까요??
그 정답이 아래에 있습니다.
오늘은 제가 좋아하는 건물에 대해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역삼 센터필드'
역삼 센터필드는 서울에 사시는 분이라면 다 아는
르네상스호텔의 부지가 있던 자리입니다.
사실 르네상스호텔의 부지는
아주 유명한 사업 부지였습니다.
역삼역과 선릉역 사이의 교차로에 위치해 있어
너무 좋은 위치적 장점 과 르네상스호텔이라는
지역성을 대표하는 호텔, 그리고 우리나라 최고의 건축가
김수근씨의 유작이기도 하기때문입니다.
아 김수근 이라는 이름을 아실까요???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우리나라 최고의 건축가이자 아직 살아계셨다면
건축계의 노벨상이라고 하는
프리처커상을 받으셨지 않을까 하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건축가 입니다.
나중에 김수근씨에 대해 다시한번 다루겠지만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국회의사당, 서울올림픽경기장이 있습니다.
잠깐 옆으로 빠졌지만
센터필드의 부지는 대단한 역사와 상징성을 가지고 있는 부지였습니다.
그래서인지 건물 곳곳에 기존의 르네상스 호텔의 흔적을 엿볼수 있는것같습니다.
여기 센터필드의 건축디자인을 맡은 건축가는
바로 일본의 건축가 미쯔이 준 (Mitsui Jun) 입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할 수 있는 건축가입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아주 유명한 분이죠
몇년전에 타계한 미국의 시저펠리의 애제자로서
시저펠리 건축사무소의 일본 지사 PCPJ(Pelli Clarke Pelli Japan)의 대표이자
JMA(Jun Mitsui & Associates inc. architects) 의 대표입니다.
HOME | Jun Mitsui & Associates Inc. Architects | Pelli Clarke & Partners Japan, Inc.
光井純 アンド アソシエーツ 建築設計事務所 株式会社 / ペリ クラーク アンド パートナーズ ジャパン 株式会社 は、国内外の街と建築をデザインする設計事務所です。
www.jma.co.jp
최근에는 일본에서 가장 핫한 건물이죠
아자부다이 힐즈의 메인 타워를 시저펠리와 함께 디자인하기도 하였습니다.
그 외에도 하네다공항을 비롯한 아베노하루카스, 오사가 국립미술관 등
초고층 건물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의 실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초고층 오피스 전문 회사 답게
센터필드의 디자인에도 많은 공을 들였던것같습니다.
그럼 센터필드에 적용된 주요 포인트를 알아보겠습니다.
1. 배치
센터필드의 계획은 부지 남측과 북측에
개성이 다른 2개의 오픈 공간을 배치하고 있다고합니다.
한국의 전통 정원인 창덕궁에서 볼 수 있듯
전면에는 사람들의 활기가 넘쳐나는 광장과
배면에 있는 산의 자연 지형을 살린 정원의 구성을
현대적으로 재 해석 했다고 합니다.
부지 남쪽 테헤란로에 접한 ‘Urban plaza’에서는
일년 내내 많은 사람들로 북적 되어 도시에 활력을 줄 것이며
부지 북측의 ‘Upper garden’에서는 도시의 소음에서 떨어져 녹지가 넘치는 공간으로,
도심에 있으면서도 직장인들에게 평화와 휴식을 제공하는 공원의 역할을 제공할것을 기대하며서 계획했느데
실제로 가보시면 많은 오피스 근무자들이 쉬고 있는것을 보면
건축가의 의도대로 잘 계획 되었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2. 파사드 디자인
외관 파사드 디자인은 한국의 전통적 사상을 잘 표현한
‘일월오봉도’
에서 디자인을 착안하였고
하늘에서 지상으로 떨어지는 폭포를 외관에
표현 하고자 하였다고한다.
트윈 타워의 각 입면은 대, 중, 소 3개의 레이어로 겹쳐지도록 구성되어
폭포가 떨어질 때의 겹침을 표현하고 있고
외벽면에 설치된 수직 핀이
타워의 수직성을 더 강조 함과 동시에,
핀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파이프는 섬세한 반짝임을 외관에서 보여주고있다고합니다.
저층부는 폭포수가 떨어져지는 정원석의 배치를 표현하고있습니다.
계단식 모양의 테라스와 저층의 볼륨 분절,
그에 맞춰 계획된 캐노피의 변화,
그리고 랜드스케이프의 조화로운 계획은
휴먼 스케일의 쾌적한 도시 광장의 실현을 기대했다고 하는데
완공된지 약 3년이 흐른 지금 어떨까요??
3. 랜드스케이프 바닥패턴
광장의 바닥패턴은 폭포수에 떨어진 물들이
광장으로 퍼져나가는 모습을
패턴화 하였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구 르네상스호텔의 흔적을 곳곳에서 볼수가 있어
건축적으로 가치가 있는 옛건물과
이를 계승한 곳곳의 디자인들이 함께 어우러져
디자인적으로 잘 표현한 건물이었던것같습니다.
변호사 우영우 드라마에서 이슈가 되었던 회전문입니다.
5. 디자인특화
저층부의 공용부 디자인과 주차장디자인은
미국의 RTKL에서 컨설팅을 하면서
이전보다 아주 많이 고급하 되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센터필드는 우리나라 최고의 팀들이 모여서 완성한 건물이다.
그런 노력때문인지
공실이 높았던 오피스 공실률을
센터필드가 들어서면서 공실률인 없어지는것과 동시에
우리나라 오피스 임대료의 새역사를 세워나가고 있다.
그리고 많은 드라마, 영화 곳곳에서
센터필드가 보이는것같다.
어떻게보면 단순한 사각형이 레이어로 있는듯한
단순한 디자인으로 보이지만
가까이 접근해서 보면 볼수록
그 디자인의 우수성을 느낄수 있다.
그래서 미쯔이준의 작품들을 찾아보니
그가 작업한 건물의 파사드는 모두
섬세함이 살아있는 디자인이 많이 보였다.
이렇게 그의 작품을 보니
다음은 그의 작품에대해 좀더 소개해보고 싶네요
앞으로 한국에 그의 디테일이 살아있는 건물을 많이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